위스키를 안전하게 관리하자 위스키보관법

위스키보관법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국내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위스키의 소비량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실제로 음용하시는 분만이 아닌 콜렉팅의 목적으로도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고 있죠, 이러한 추세로 위스키의 유통량은 점차 늘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스키에 대한 관심으로 그냥 보관만 하시는 게 아니라 적절한 보관법으로 위스키를 좀 더 알아보고 즐겨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위스키는 알코올 도수가 40%를 넘어가기 때문에 미생물 살거나 변질될 위험이 없다고 합니다. 이러한 점은 오래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죠.


위스키는 개봉을 하셨으면 빨리 소비를 하시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위스키는 한번 개봉하면 보통 2년 정도안에 소비를 하는 게 가장 좋다고 합니다. 개봉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산소와의 접촉이 생기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지나면 향과 맛이 변해 처음 개봉했을 때의 느낌과는 많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죠. 물론 위스키를 개봉 후 적절한 시간의 산소와 접촉으로 보다 부드럽고 풍부한 향과 맛을 즐길 수 있다는 건 사실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흔히 에어링이라는 표현으로 위스키를 즐기시는 분들은 말합니다. 우리들의 소중한 위스키, 이런 한 방울도 소중한 위스키를 보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위스키를 적절한 방법으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위스키보관법 알아보겠습니다.


위스키보관법, 위스키를 보관하는 적절한 방법을 통해 소중한 위스키를 지켜보자 라는 이미지.


첫째, 위스키는 세워서 보관해야 합니다.

똑바로 세워서 보관하는 방법은 위스키 보관 방법 중에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흔히 와인을 눕혀 보관하는 이유 때문에 간혹 위스키도 눕혀서 보관하는 분들이 가끔 계시기도 합니다. 하지만 위스키는 와인과는 다른 느낌의 알코올 음료입니다. 와인을 눕혀서 보관하는 이유는 와인의 코르크 마개와 내용물이 닿으면 이 코르크 마개가 팽창을 하여 산소가 더욱 들어가기 힘들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와인을 보관하게 되면 와인을 더욱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거겠죠. 하지만 위스키를 눕혀서 보관하게 되면 위스키의 코르크를 통해 증발량이 점점 많아 지게만 됩니다. 기본적으로 위스키의 알코올 함유량이 높기 때문에 내용물의 증발이 와인보다는 훨씬 쉽게 진행됩니다. 일반적으로 코르크, 인조 코르크 그리고 스크류 방식 등을 위스키 뚜껑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이 모든 위스키들은 웬만하면 세워서 보관하시는 게 가장 안전하고 기본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둘째, 직사광선을 피해서 서늘한 곳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햇빛이나 이런 직사광선들은 위스키에게는 치명적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자외선으로 인해 알코올의 풍미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이렇기 때문에 최대한 서늘하고 햇빛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을 해야 장기적으로 오래 보관을 시킬 수 있습니다. 실내온도 15도에서 20도 사이에 보관하는 게 가장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셋째, 위스키를 장기간 보관하고 싶으신 분들은 파라필름을 사용해 보셔도 좋습니다.


파라필름은 무엇일까요?

파라필름 PARAFILM 파라핀 혼합물로 만들어진 물질입니다. 특성은 매우 잘 늘어나 약간의 점착성도 있습니다. 과거에는 실험실 등지에서 시험관이나 비커 등을 밀봉할 때 쓰이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서 최근에는 많은 분들이 위스키의 내용물이 증발하는 걸 막기 위해 쓰시기도 합니다. 파라필름은 공기만 투과가 되며 알코올이나 수분은 투과가 안된다고 합니다.



파라필름을 사용한 위스키

이러한 성질은 위스키를 보관하기에 딱 알맞은 필름이죠. 이미 개봉을 한 위스키에도 사용하기에 좋습니다. 개봉한 위스키를 당분간 마시지 않을 거라고 생각되면 파라필름으로 감싸서 보관하면 알코올의 증발량을 조금이라도 막을 수 있습니다. 더욱이 고가의 위스키라면 더욱 사용해 볼 만하죠. 하지만, 아직 개봉하지 않은 위스키병에 파라필름을 사용하여 증발량을 조금이라도 낮추는 방법에 대해서는 많은 커뮤니티에서 필요하다는 의견과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 양분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개봉을 하지 않은 상태이니 파라필름을 사용하지 않아도 증발량은 차이가 없다는 의견도 있죠.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그래도 혹시 고가의 위스키에 파라필름을 감아 놓는 게 심리적으로 좋은 방법 같습니다, 갑자기 그 위스키를 마시고 싶은 유혹을 조금이나마 떨쳐낼 수 있을 테니까요.


넷째,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서 평평하고 안전한 곳에 보관하시는 게 좋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조금 특수한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간혹 여러 커뮤니티에서 위스키 보관을 잘못하여 병이 깨지는 사례가 가끔 올라오곤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낙하로 인한 파손이 대다수입니다. 드물지만 과거 지진이 났을 때도 위스키를 많이 모으시는 분이 자신이 위스키를 모아둔 창고로 급하게 뛰어갔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다행히 위스키 보관을 잘하셔서 아무 문제가 없으셨지만, 기본적으로 위스키 병은 유리재질로 되어있어 파손될 우려가 있습니다. 요즘 들어 국내도 지진의 위험에서 아주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지진뿐만이 아니라 이런저런 흔들림에 보관장소가 취약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한번 점검해 봐도 나쁠 건 없습니다.  보통 선반에 보관을 많이 하시는데, 사용하시는 선반이 어느 정도의 흔들림에 버틸 수 있는 선반 이길 바랍니다. 자기 자신이 안전하게 보관했다고 생각해도 다른 누군가의 아니면 천재지변으로 인한 상황은 언제든지 있을 수 있는 상황이니까요. 위스키의 가격대는 다양 하지만 가격을 떠나서 자신이 소장하고 즐겨 마시는 술병이 깨지는 상황은 누구든지 피하고 싶은 일입니다. 술을 좋아하시고 사랑하시는 분들에게는 절대 있어서는 안 될 상황이죠.


이런 위스키보관법 어떠신가요? 물론 위스키를 빠르게 소비하시는 분들에게는 이러한 위스키 보관방법이 크게 유용하지 않을 수 있으나, 보통 많은 분들이 장기적으로 천천히 소비하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위스키보관법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지만 위스키를 좋아하신다면 한번 쯤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