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키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오크통 사이즈별 종류

오크통 사이즈별 종류를 알고 계시나요? 위스키의 제조 과정 중에서 위스키를 숙성시키는 과정은 매우 중요한 과정 중에 하나입니다. 보통 오크나무로 만든 통에 넣어서 숙성을 시키는데 이러한 오크통의 크기에따라서도 이름이 다르며, 어떤 종류의 오크통을 사용했느냐에 따라서도 위스키의 향과 맛이 크게 변하기도 합니다. 사실상 오크통의 중요성은 위스키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나게 됩니다. 오크통은 크기에 따라 어떤 이름을 가지고 있는지 몇 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크통들이 창고에 쌓여 있는 사진
오크통 위스키 제조에 가장 큰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오크통의 크기는 위스키의 숙성과정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일반적으로 오크통의 크기는 위스키 숙성에 큰 영향을 나타납니다. 오크통의 크기가 작을수록 위스키와의 표면의 맞닿는 부분이 많아지므로 숙성이 좀더 빨리 진행되어집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작은 쿼터 캐스크에서 숙성이 진행되면 그보다 큰 혹스헤드 캐스크에서 숙성이 진행될 때보다 거의 2배의 풍미를 가지게 됩니다.



위스키를 숙성시킬때 사용하는 오크통의 종류

  • 쿼터 캐스크
  • 혹스헤드 캐스크
  • 펀천 캐스크
  • 버트 캐스크
  • 파이프 캐스크
  • 튠 캐스크



쿼터 캐스크 QUATER

과거에는 버트 사이즈의 4분의1 크기인 150리터 정도의 사이즈라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현재는 사용하는 곳마다 다른 사이즈를 사용하고 쿼터 캐스크라고 이름을 붙이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쿼터 크기의 오크통을 사용하는 증류소인 라프로익은 125리터의 오크통을 사용하며 제품명에도 쿼터 캐스크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혹스헤드 캐스크 HOGSHEAD

혹스헤드 오크통은 300리터 정도의 크기를 보여 줍니다. 기본적인 배럴 오크통 보다는 사이즈가 조금 큽니다.


펀천 캐스크 PUNCHEON

펀천 캐스크는 쉐리 펀천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주로 쉐리 와인등을 숙성하는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버트 캐스크 BUTT CASK

상당히 큰 오크통으로 일반적으로는 쉐리 와인을 숙성할때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쉐리버트 라는 이름도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스키를 숙성할 때 일반적으로 버트 캐스크를 크기가 가장 큰 사이즈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파이프 캐스크 PIPE CASK

주로 포트와인을 숙성시킬때 사용하는 캐스크 입니다. 크기는 600리터 정도가 됩니다.


튠 캐스크 TUN CASK

주로 맥주를 발효할때 쓰는 캐스크 입니다. 사실상 튠 캐스크는 크키가 상당해서 이곳에 숙성을 시킨다고 하여도 위스키의 숙성년수에는 포함되지 않고 있습니다. 위스키의 숙성년수는 700리터 미만의 오크통에서 숙성을 시킬 때에만 숙성년수로 인정을 받고 표기할 수 있습니다.


사용되어지는 오크통의 사이즈는 조금씩의 크기 차이는 존재하고 있습니다. 위스키를 만들 때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리고 가장 큰 힘을 발휘하는 건 오크통에서 숙성하는 시간입니다. 위스키의 원액은 오크통의 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어떤 오크통에 어떤 방식으로 숙성되는지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게 됩니다. 위스키를 만들 때는 역시 가장 중요한 건 오크통 안에서의 숙성입니다.